지금의 한국의 경제를 사람의 일생에 비유하자면,성숙기에접어들었다.
첫째, 임대 수익형 투자 확실한 대세(원룸투자 등)
둘째, 부동산의 투자주체는 부동산 펀드로 재편
첫째, 현금보유량을 최대한 늘려야한다.
둘째, 구조조정,
셋째, 저상장 국면의 제품과 서비스
넷째, 끓임없이 위기를 모니터링
플라자합의 이후, 로스엔젤레스 타운 절반,
미국 전체부동산의 10%, 하와이부동산의 96%
지금의한국의경제를사람의일생에비유하자면,성숙기에접어들었다.
40대중반을 넘어섰다..기회보다는 위기가 엄습하는시기
2013년11월13일 코스피지수가
2,000정도를 기록했을때의 코스피
시가총액1,156조3,891억원에서
외국인이보유한주식
시가총액412조1,915억원 35%를 넘는 비중이다.
코스피지수가2,000정도를 기준으로20%하락하면
1600선으로 주저앉으면서 순식간에 200조원이 사라진다.
그 전에 외국인이 20%정도 80~100조원만
주식을 매도해 달러로 바꿔서 나가면 700~900억 달러의 외환보유액에서 사라진다.
3,500억 달러의 외환보유액 중에서 위기가
발생할 경우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규모는 1,700억달러 정도이다.
주식을 팔아서 가지고 나갈 700~900억 달러를 빼면 달러
현금은 800~1,000억 달러로 줄어든다.
이 액수는 3개월만기부채 1,200억달러를 방어하기에도 부족한 규모